본문 바로가기
역사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

서울 핵심 지역 집값 상승, 외곽 지역 하락세 지속

by 이야기꾼이고싶다 2025. 2. 6.
반응형

서울 핵심 지역 집값 상승, 외곽 지역 하락세 지속

 

서울 아파트 시장이 지역별로 극명한 온도 차를 보이고 있다. 용산구, 송파구, 서초구 등 핵심 지역은 집값이 오르는 반면, 노원구, 금천구 등 외곽 지역은 하락세를 이어가며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반응형

 

서울 집값 상승세 vs 하락세

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2월 첫째 주(3일 기준) 서울 전체 아파트 가격은 0.02% 상승했다. 전주 보합에서 상승세로 전환된 것이다.

핵심 지역 상승세

  • 송파구(0.13%)는 서울 25개 구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잠실동 ‘리센츠’ 전용 84㎡는 지난달 27억4000만 원에 거래되며, 작년 말 26억 원 대비 1억4000만 원 상승했다.
  • 서초구(0.06%)도 강세를 보였다. 잠원동 ‘신반포2’ 전용 92㎡는 38억2000만 원에 거래되며, 작년 말 37억5000만 원 대비 7000만 원 올랐다.
  • 용산구(0.05%) 역시 상승세를 유지했다. 서빙고동 ‘신동아’ 전용 166㎡는 41억3000만 원에 거래되며, 작년 9월 38억5000만 원 대비 2억8000만 원 상승했다.

외곽 지역 하락세

  • 노원구(-0.03%)는 하락세를 지속했다. 중계동 ‘청구3’ 전용 84㎡는 지난달 11억 원(1층)에 거래되며, 작년 거래 가격 11억8500만 원(3층)보다 떨어졌다. 작년 말 10층 거래 가격(13억 원)과 비교하면 2억 원 이상 하락했다.
  • 금천구도 -0.03%를 기록하며 약세를 보였다. 독산동 ‘금천롯데캐슬골드파크1차’ 전용 84㎡는 11억 원에 거래되며, 작년 말 11억5000만 원 대비 5000만 원 하락했다.

 

 

집값 양극화 원인과 전망

전문가들은 ▲재건축 추진 단지에 대한 기대감 ▲우수한 학군과 생활 인프라 ▲대출 규제 완화 가능성 등이 핵심 지역의 상승 요인이라고 분석한다. 반면, 외곽 지역은 수요 감소와 대출 규제의 영향을 받아 가격 조정이 이어지고 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대출 규제 등의 영향으로 매수 심리가 위축된 상황이지만,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단지나 학군이 좋은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외곽 지역은 거래량 감소와 수요 위축으로 인해 당분간 하락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서울 아파트 시장의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향후 정부 정책과 시장 상황에 따라 가격 흐름이 더욱 뚜렷하게 나뉠 것으로 전망된다.

 

 

 

 

더 많은 역사이야기 보러가기

 

역사

역사 입니다.

story.kcd-data.com

 

반응형